Designed a record cover by analyzing the lyrics of “Teardrop" by Massive Attack.
Massive Attack의 Teardrop노래의 가사를 분석해, Eros 에로스(생명 본능)와 Thanatos 타나토스(죽음 본능)라는 상반된 힘을 소금을 이용해 시각적으로 표현한 레코드 커버를 디자인했습니다.
Analyzing the lyrics of “Teardrop" by Massive Attack, I drew connections to Freud's dichotomy of Eros, self-preservation, and Thanatos, self-destruction, which symbolize the opposing forces within us:
Eros
Life, Self-preservation, Love, Creativity
Thanatos
Death, Self-destruction, Aggression
Massive Attack의 Teardrop가사를 분석하면서, 프로이트의 이론 중 두 가지 본능 — 삶과 자기 보존을 상징하는 Eros 에로스와 죽음과 자기 파괴를 상징하는 Thanatos 타나토스 — 사이의 대립을 발견했습니다. 이 두 가지 힘은 우리 내면에서 끊임없이 충돌합니다.
Eros
삶, 자기 보존, 사랑, 창의성
Thanatos
죽음, 자기 파괴, 공격성
“After analyzing the lyrics of Teardrop, I noticed the conflict between Eros and Thanatos in the human mind, where we have the drives of Eros — life, self-preservation, love — or Thanatos — death, self-destruction, hate, aggression.”
“Teardrop의 가사를 깊이 들여다보면서,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갈등을 포착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 안에는 생명, 사랑, 그리고 자기 보존을 향한 욕구인 에로스가 자리 잡고 있는 동시에, 죽음, 자기 파괴, 분노, 그리고 공격성을 향한 타나토스의 충동도 함께 존재합니다.”
In my interpretation, Eros and Thanatos coexist within our ego, inseparable and in perpetual conflict—a love and hate relationship. At times, they harmonize, but occasionally clash explosively, akin to a powerful explosion. This internal struggle unfolds within our ego, causing it to stumble. The Teardrop song's sound, melody, and lyrics encapsulate the conflict story of Eros and Thanatos within the ego, portraying the dynamic interplay of these opposing forces with profound energy.
가사를 해석하면서, 인간 내면의 에로스와 타나토스가 끊임없이 충돌하고 때론 조화를 이루는 과정을 발견했습니다. 때때로 이 두 힘은 폭발적으로 부딪치며, 이는 우리 내면의 갈등과 흔들림을 상징합니다. Teardrop의 멜로디와 가사는 이처럼 강렬하게 대립하는 두 본능의 에너지를 그대로 담아내고 있습니다.